
| 용어 | 설명 |
|---|---|
| DE | Error Deviance |
| DT | Total Deviance |

| 용어 | 설명 |
|---|---|
| R2 | 이탈도 R2 |
| p | 회귀 자유도 |
| Φ | 1, 이항 및 포아송 모형의 경우 |
| DT | 총 이탈도 |
수정 이탈도 R2의 계산에서는 음수 값이 나올 수 있지만, Minitab는 이런 경우 0을 표시합니다.

로그 우도 함수는 평균에 대해 모수화됩니다. 함수의 일반적인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
개별 기여의 일반적인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
개별 기여의 구체적인 형식은 모형에 따라 다릅니다.
| 모형 | li |
| 이항 분포 | ![]() |
| 포아송 분포 | ![]() |
| 용어 | 설명 |
|---|---|
| p | 회귀 자유도 |
| Lc | 현재 모형의 로그 우도 |
| yi | i 번째 행의 사건 수 |
| mi | i 번째 행의 시행 횟수 |
![]() | i 번째 행의 추정 평균 반응 |

인 경우 AICc가 계산되지 않습니다.
| 용어 | 설명 |
|---|---|
| p | the number of coefficients in the model, including the constant |
| n | 결측 데이터가 없는 데이터의 행 수 |

| 용어 | 설명 |
|---|---|
| p | 상수를 제외한 모형 내 계수의 수 |
| n | 결측 데이터가 없는 데이터의 행 수 |

다음 방정식이 오차 이탈도를 나타내는 위치:



| 용어 | 설명 |
|---|---|
| N(Test) | 검정 데이터 세트의 행 수 |
![]() | 제곱 이탈도 잔차 |
| yi | 검정 데이터 세트에서 i번째 행에 대한 사건 개수 |
| mi | 검정 데이터 세트에서 i번째 행의 시행 횟수 |
| DE(검정) | 검정 데이터 세트에 대한 오차 이탈도 |
| DT(검정) | 검정 데이터 세트에 대한 총 이탈도 |

설명

및 DT는 총 이탈도입니다.
| 용어 | 설명 |
|---|---|
| K | 폴드 수 |
| nj | 접기 j의 표본 크기 |
![]() | 접기 j의 i번째 행에 대한 교차 검증 이탈도 잔차 |



여기서 k는 고유한 사건 확률의 수이고 (x0, y0)은 점(0, 0)입니다.
검정 데이터 세트 또는 교차 검증된 데이터에서 곡선에 대한 면적을 계산하려면 해당 곡선의 점을 사용합니다.
| x(가양성률) | y(진양성률) |
|---|---|
| 0.0923 | 0.3051 |
| 0.4154 | 0.7288 |
| 0.7538 | 0.9322 |
| 1 | 1 |


| 용어 | 설명 |
|---|---|
| TRP | 진양성률 |
| FPR | 가양성률 |
| TP | 진양성, 올바르게 평가된 사건 |
| P | 실제 긍정적인 사건의 수 |
| FP | 진음성, 올바르게 평가된 비사건 |
| N | 실제 부정적인 사건 수 |
| FNR | 가음성률 |
| TNR | 진음성률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