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혼합물 설계에는 상수가 포함되지 않습니다.
| 용어 | 설명 |
|---|---|
![]() | 적합치 |
| xk | k번째 항. 각 항은 단일 예측 변수, 다항식 항 또는 교호작용 항입니다. |
| bk | k번째 회귀 계수의 추정치 |
예측 변수가 하나인 회귀 모형 적합치의 표준 오차는 다음과 같습니다.

예측 변수가 2개 이상인 회귀 모형 적합치의 표준 오차는 다음과 같습니다.

| 용어 | 설명 |
|---|---|
| s2 | 평균 제곱 오차 |
| n | 관측치 수 |
| x0 | 새 예측 변수 값 |
![]() | 예측 변수의 평균 |
| xi | i번째 예측 변수 값 |
| x0 | 설계 행렬의 각 열에 하나씩 적합치를 생성하는 값의 벡터 |
| x'0 | 예측 변수 값의 새 벡터 전치 |
| X | 설계 행렬 |

| 용어 | 설명 |
|---|---|
| yi | i번째 관측 반응치 |
![]() | 반응에 대한 i번째 적합치 |
표준화 잔차는 "내적 스튜던트화 잔차"라고도 합니다.

| 용어 | 설명 |
|---|---|
| ei | i번째 잔차 |
| hi | X(X'X)–1X'의 i번째 대각 원소 |
| s 2 | 평균 제곱 오차 |
| X | 설계 행렬 |
| X' | 설계 행렬의 전치 |
외적 스튜던트화 잔차.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
이 공식은 또한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.

i번째 관측치를 추정하는 모형에서 데이터 집합의 i번째 관측치가 제외됩니다. 따라서 i번째 관측치는 추정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. 각 외적 스튜던트화 잔차에는 자유도가
인 t-분포가 있습니다.
| 용어 | 설명 |
|---|---|
| ei | i번째 잔차 |
| s(i)2 | i번째 관측치를 포함하지 않고 계산한 평균 제곱 오차 |
| hi | X(X'X)–1X'의 i번째 대각 원소 |
| n | 관측치 수 |
| p | 항 수 |
| SSE | 오차의 제곱합 |